20th/work_나의 임금체불기

[나의 임금체불기] 3. 밀린 급여 못 받은 채로 퇴사하게 될 때

Ree_H 2022. 6. 24. 13:30
728x90
반응형

서문에서!

더보기

 이 글은 2020년에 나의 다른 블로그에 적었던 내용이다.
그 블로그는 이제 쓰지 않아서 이 곳에 다시금 남긴다. (내가 그 블로그를 살리기엔 여기에 힘을 쏟고있다.)
혹시나 퍼온글이 아니냐고 하실거 같아서 서문에 적어둔다.  

 2화를 쓰고 약 한달이 지났다.
그 한달이 나에겐 참 스팩터클했다. 
아니지.. 더더욱 고조되고 있다.

2월 4일..
우리팀은 모두 퇴직할 생각을 가지고 근무해가고 있었다.
그러던 중 오후 4시 경에 이사가 우리팀장님을 부르시곤 20분 뒤, 우리는 해당 내용에 대해 알게 되었다.

우리 10일 이후 부터 무급근무로 재택근무로 들어갈 것 같아요.
그래서 퇴직을 원하시는 분들은 지금 이야기하면 권고사직 처리 가능하게 해주신대요.

올것이 왔다.

나는 바로 듣자마자 사직서를 작성했다.

퇴직사유는 '권고사직'

혹시라도 고쳐쓸까싶어서 원본을 찍어놓기까지 했다.

그렇게 나는 이사에게 사직서를 전달하면서 허탈함과 아쉬운듯한 미소를 지으며 전달했다.
이사는 한숨을 쉬며 나에게 한숨을 쉬며 신세한탄을 늘어놓았다.
이전같으면 왜 갑자기 신세한탄인가 싶겠지만 이번에는 아쉽고 안타깝다는 리액션까지 곁들여서 아쉽다는 이야기를 했다. 어자피 나는 나갈사람이고 저 신세한탄을 듣지 않아도 되니까 말이다.

드디어 권고사직이다!

이제 권고사직이 처리되었으니 내가 못받은 급여와 밀린 4개월 분의 사대보험에 대해 권리를 찾기로 했다.

나는 퇴직 시 약 2개월 분(12월 일부, 1월, 2월 퇴사 전 일한 임금) 미지급된 급여와 약 1년 11개월에 해당되는 퇴직금을 받아야했다.

입금은 언제 입금이 가능한지 물어보았으나 기약은 없었다.

그렇다면, 무엇을 준비해야하는가..

1. 임금체불확인서

입금체불확인서는 개인적으로도 만들어 사용해도 무관하지만 근로복지공단에 있는 서식을 다운받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서식 다운로드는 근로복지넷에서가능하다.)

클릭 시 해당 페이지 이동되요!

메인화면>오른쪽사이드메뉴에서 [서식자료마당]을 클릭한다.
(이벤트를 클릭해도 무관하다.)

이미지 클릭 시 해당페이지로 이동되요!

서식 자료 마당에서 [임금체불확인서]를 클릭한다.
(이벤트 메뉴를 클릭 시 서식 자료 마당을 클릭하면 된다.)

이렇게 해서 아래와 같은 파일을 다운로드 하여 회사 내 경영담당부서에 전달하면된다.
(회사에 따라 경영지원팀, 총무팀 등등 이름으로 불린다.)

임금체불확인서[1].hwp
0.03MB
임금체불확인서 서식내용

사업장관련내용 및 체불기간 및 체불금액에 대해선 경영지원팀이 다 작성해주신다.
그럼에도 궁금한게 사람인지라...
체불기간 및 체불금액의 내용에 대해 알아보자

  • 정기지급일자 : 급여일을 말한다. 아래 합계는 급여지급하지 못한 개월 수를 적는다.
    예를 들어, 12월~2월까지 급여를 받지 못할 경우, 아래와 같이 병렬로 기입한다.
    2019. 12. 30
    2020. 01. 30
    2020. 02. 29
    합계 3개월분
  • 지급해야할금액 : 1개월분의 급여(세후금액)을 기입하면된다.
    만약 수당이 있는 경우, 수당도 같이 작성해주면 좋다.
    급여액도 지급일자 줄 맞춰서 작성한다.
  • 지급한금액 : 예를들어 2월에 급여 중 일부를 받았다면 그 받은 금액을 적는다.
    (되도록이면 해당 지급일자 줄에 맞게 작성한다.)
  • 체불금액 : 지급해야할금액-지급한금액의 차액
    실질적으로 받을 금액을 작성하면 된다.

해당 내역을 가지고 추후 퇴직 시 임금체불진정서를 제출할때 해당 자료를 첨부할 수 있으므로 요청하여 받아두는 것이 좋다.

※참고사항!

더보기


해당 문서에는 퇴직금 내역은 적을 수 없다고 한다. 
퇴직금에 대한 부분은 추후 이야기하겠다.

나는 우리팀 및 나와 친했던 회사동료들에게 해당 자료를 다 돌렸다.
덕분에 경영지원팀이 힘들어졌지만 말이다.

입사 1년 미만인 사람 중 급여가 밀린채로 퇴직하게 되면 해당자료만 받아두어도 좋다.
물론 실업급여를 받을려면 이직확인서가 필요하지만 그건 인터넷으로도 받을 수 있기에 패스!

나도 해당자료만 있으면 좋으련만... 나는 퇴직금도 있었고 회사에서 나를 자회사로 넘긴 기록이 있기에 해당 내용에 대한 자료로 필요했다.

나머지 내용은 2편에 이어진다.

728x90
반응형